전자서명 인증서 발급 방법|공동인증서·사설인증서 차이와 신청 절차 총정리
전자서명 인증서는 본인 확인 및 전자거래의 법적 효력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입니다.
특히 인터넷뱅킹, 민원서류 발급, 연말정산, 온라인 투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2020년 이후 공인인증서 제도 폐지와 함께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사설인증서) 체계로 바뀌었습니다.
2025년 기준으로 전자서명 인증서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목차 바로가기
전자서명 인증서 종류
전자서명 인증서는 크게 다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공동인증서 (기존 공인인증서)
– 은행, 공공기관, 금융거래에 폭넓게 사용
– 주요 발급기관: 금융결제원(범용), 은행연합회, 증권사 등
사설(민간) 인증서
– 패스(PASS), 카카오, 네이버, 토스, KB모바일 인증서 등
– 사용 용도는 제한적이지만 비밀번호 입력만으로 빠른 인증 가능
공동인증서 발급 방법
① 은행을 통한 발급
대부분의 시중은행에서는 온라인 뱅킹을 통해 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습니다.
발급 절차
- 은행 인터넷뱅킹 또는 앱 접속
- ‘공동인증센터’ 또는 ‘인증서’ 메뉴 클릭
- 본인 인증(휴대폰 인증, 계좌인증 등)
- 비밀번호 설정 후 인증서 저장(PC, USB, 스마트폰 등)
필요한 준비물
- 본인 명의 휴대폰
- 공동인증서 저장 매체 (PC, 스마트폰, USB 등)
- 주민등록번호 인증, 계좌정보 입력
② 금융결제원 공동인증센터
https://www.yessign.or.kr 에 접속하여 발급 신청도 가능합니다.
주로 범용 공동인증서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합니다.
공동인증서 발급 시 자주 발생하는 오류
- 보안 프로그램 미설치
→ 인증서 다운로드 창이 뜨지 않음 → 은행 홈페이지에서 보안모듈 먼저 설치해야 함 - 크롬·엣지에서 발급 실패
→ 일부 은행은 IE 모드 또는 전용 앱 설치 필요 - USB 저장 오류
→ 포맷된 USB, 쓰기 방지된 저장장치일 경우 오류 발생 → 설정 확인 필요
사설인증서 발급 방법
사설인증서는 발급과 이용이 간편하고, 비밀번호나 생체인증으로 대체가 가능해 사용자가 꾸준히 증가 중입니다.
인증서명 | 발급 경로 | 인증 방식 |
---|---|---|
PASS 인증서 | 통신사 PASS 앱 | 생체인증 또는 PIN |
카카오 인증서 | 카카오톡 > 설정 > 인증서 | 비밀번호 |
네이버 인증서 | 네이버 앱 > 인증서 메뉴 | 지문/비밀번호 |
토스 인증서 | 토스 앱 > 설정 > 인증서 메뉴 | 생체인증 |
KB모바일인증서 | KB국민은행 앱 내 인증서 메뉴 | 생체 또는 비밀번호 |
공통 절차
- 앱 설치 및 로그인
- 본인인증 (휴대폰 본인확인 또는 금융인증)
- 간편 비밀번호 또는 생체정보 등록
- 인증서 자동 발급 완료
※ 사설 인증서는 대부분 모바일 전용으로, PC에서 이용은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증서 저장 방식 및 유의사항
- 공동인증서는 USB, 하드디스크, 스마트폰, 보안토큰 등에 저장 가능
- 사설인증서는 앱 내 저장, 외부 이동 불가
- 유효기간은 1년, 만료 전 반드시 갱신 필요
인증서 갱신 방법은 이렇게
- 유효기간 만료 30일 전부터 갱신 가능
- 기존 인증서로 로그인 → ‘인증서 갱신’ 메뉴 클릭
- 비밀번호 재설정 후 자동 갱신 완료
- 만료된 경우 신규 발급 절차 필요
→ 미리 갱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자서명 인증서 발급 시 유의사항
- 타인의 인증서를 임의로 사용하는 행위는 불법이며 민형사상 책임 발생
- 전자서명법에 따라 공동·사설 인증서 모두 법적 효력 동일
- 인증서를 저장한 매체 분실 시 즉시 폐기 및 재발급 필수
- 사설 인증서는 사용 가능한 기관이 제한되므로 용도 확인 후 선택
이럴 땐 어떤 인증서를 써야 할까?
용도 | 추천 인증서 | 이유 |
---|---|---|
인터넷뱅킹, 세금신고, 정부24 | 공동인증서 | 공공기관 대부분에서 요구 |
간단한 로그인, 본인확인 | 사설 인증서 | 속도 빠르고 편리함 |
전자세금계산서, 사업자용 | 공동인증서(범용) | 법적 효력과 호환성 확보 |
모바일 중심 인증 환경 | 사설 인증서 | 앱 기반 발급과 인증이 쉬움 |
요약 정리
- 공동인증서는 은행 또는 금융결제원 홈페이지를 통해 PC, USB 등에 저장 가능
- 사설인증서는 PASS, 카카오, 네이버 등 앱을 통해 간편하게 발급 가능
- 발급에는 본인 인증수단과 간단한 비밀번호 설정이 필요
- 유효기간은 1년, 갱신은 필수
- 목적에 따라 인증서를 선택하고, 보안 관리에 유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