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L 인증서 발급 방법 총정리|종류, 신청 절차, 설치까지 한눈에 이해하기

SSL 인증서 발급 방법 총정리|종류, 신청 절차, 설치까지 한눈에 이해하기

웹사이트를 운영하거나 쇼핑몰을 개설할 계획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SSL 인증서입니다. 브라우저 주소창에 자물쇠 아이콘이 표시되는 HTTPS 보안 접속은 SSL 인증서가 설치된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이 글에서는 SSL 인증서의 의미, 발급 방법, 신청 절차, 설치 방법까지 처음 접하는 분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립니다.

 

 

 

목차 바로가기

 

 

 

SSL 인증서란?

SSL(Secure Sockets Layer) 인증서는 웹사이트와 사용자 간의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보안 프로토콜입니다. 현재는 TLS(Transport Layer Security)가 기술적으로 사용되지만, 여전히 ‘SSL 인증서’라는 명칭이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SSL 인증서가 적용된 웹사이트는 주소가 https://로 시작되며, 브라우저 주소창에 자물쇠 아이콘이 표시되어 신뢰성과 보안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

 

 

 

왜 SSL 인증서가 필요한가요?

  • 로그인, 회원가입, 결제 페이지의 개인정보 보호
  • 검색엔진 최적화(SEO) 점수 향상
  • 브라우저 경고창 방지 (HTTPS 미적용 시 ‘안전하지 않음’ 표시)
  • 신뢰도 향상 및 고객 이탈 방지

특히 쇼핑몰, 금융서비스, 병원, 학사관리 시스템 등은 SSL 인증서 없이 운영이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SSL 인증서 종류

종류 설명 용도
DV (Domain Validation) 도메인 소유 인증만 확인 개인 블로그, 중소기업 홈페이지 등
OV (Organization Validation) 도메인 + 기업 실체 확인 일반 기업, 공공기관
EV (Extended Validation) 기업 실체 + 법적 존재성 강화 확인 금융기관, 쇼핑몰, 포털 등 고신뢰 사이트

※ DV는 발급이 가장 빠르고 저렴하며, EV는 비용이 높고 발급까지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SSL 인증서 발급 절차

① SSL 인증서 신청

신청처: 인증기관(CA, Certificate Authority) 또는 호스팅 업체

  • 국내: KISA, 코모도코리아, 한국전자인증 등
  • 해외: Let’s Encrypt, Sectigo, DigiCert, GlobalSign 등

신청 시 필요 정보

  • 도메인 주소
  • 관리자 이메일
  • 조직 정보 (OV/EV의 경우 사업자등록증 등 추가 필요)
② CSR 생성 (Certificate Signing Request)
  • 서버에서 CSR 파일을 생성
  • 웹호스팅, VPS, 클라우드 서버에 따라 생성 방식 다름
  • OpenSSL 명령어나 호스팅사 툴 이용
③ 도메인 소유 인증

CA에서 보낸 이메일 인증, DNS 레코드 등록 또는 특정 파일 업로드 방식 중 하나로 도메인 소유권을 확인함

④ SSL 인증서 발급

인증기관에서 CSR 확인 후 인증서를 발급

이메일로 발급 파일 수신 또는 대시보드에서 다운로드

 

 

 

설치 및 적용 방법

① 웹호스팅 이용 시
  • 대부분의 국내 웹호스팅 업체에서는 신청과 동시에 자동 설치 가능
  • 설치 완료 후 HTTPS로 접속 가능 여부 확인
② 클라우드·VPS·자체서버 이용 시
  • Apache, Nginx, Tomcat 등 서버 환경에 따라 수동 설치 필요
  • 인증서(.crt), 개인키(.key), 중간인증서 파일을 서버에 업로드
  • 설정 파일 수정 후 서버 재시작

 

 

 

설치 확인은 이렇게!

SSL 인증서가 올바르게 적용됐는지 다음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을 입력하면 인증서 상태, 암호화 수준, 만료일 등을 상세히 분석해줍니다.

 

 

 

무료 SSL 인증서도 있다?

대표적인 무료 SSL 인증 기관은 Let’s Encrypt입니다.

  • 개인 블로그, 소규모 기업 홈페이지 등에 적합
  • 90일 단위 자동 갱신 필요
  • 웹호스팅 업체 대부분 Let’s Encrypt를 기본 제공함

※ 고급 보안이나 신뢰도 강화가 필요한 사이트는 유료 SSL 인증서 사용 권장

 

 

 

무료 SSL 자동 갱신하는 법

Let’s Encrypt를 사용할 경우 자동 갱신 설정이 필수입니다.
특히 VPS나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수동 갱신 누락 시 접속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Certbot 설치 후 cron 또는 systemd 타이머로 자동화 가능
  • 예시 명령어: certbot renew --quiet
  • 보통 /etc/cron.d/ 또는 /lib/systemd/system/ 내 등록

웹호스팅 사용자는 대부분 자동 갱신이 설정되어 있지만, VPS 사용자는 직접 확인이 필요합니다.

 

 

 

유의사항

  • 도메인 이름과 SSL 인증서 정보가 일치해야 함 (www 여부 포함)
  • OV/EV 인증서는 발급까지 3~7일 이상 소요
  • SSL 인증서 만료 전에 갱신 필수 (만료 시 접속 불가)
  • 인증서 설치 후에도 리디렉션 설정(HTTP → HTTPS)을 하지 않으면 효과 반감

 

 

 

마무리 요약

SSL 인증서는 이제 선택이 아닌 웹사이트 운영의 필수 요소입니다.
브라우저 보안, 검색 순위, 사용자 신뢰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 DV 인증서는 빠르고 저렴하게
  • OV/EV 인증서는 법인 신뢰 확보에
  • 무료 SSL은 개인·소규모 목적에
  • 유료 SSL은 상업적 보안 요구에 적합합니다

설치 후에는 보안 상태 점검과 자동 갱신 설정도 반드시 확인하세요.
완성도 높은 웹사이트를 위한 첫걸음은 SSL 인증서입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