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스코 도시가스 고객센터 전화번호, 상담시간, ARS, 요금조회·납부, 전출입·연결, 지역센터 총정리
도시가스를 이용하다 보면 예상치 못한 순간에 문제가 생기곤 합니다.
이사 하루 전 가스 연결 예약이 안 된다거나, 갑자기 요금이 이중 청구된 것 같을 때, 혹은 밤중에 가스 냄새가 나서 불안할 때처럼요
이럴 때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이 바로 예스코 도시가스 고객센터(1544-3131)입니다.
예스코는 서울과 경기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도시가스를 공급하고 있으며,
요금 문의, 자동이체, 이사(전출·전입), 철거, 가스누출, 안전점검까지 모든 민원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상담시간, ARS 단축키, 요금조회 방법, 실제 해결 사례, 지역별 센터 연락처까지 차근히 안내해드릴게요
목차 바로가기
1. 예스코 도시가스 고객센터 기본 정보
대표번호: 1544-3131
상담시간: 월요일~토요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시간: 12시 ~ 13시 (이 시간에는 상담 불가)
ARS 자동안내: 365일 24시간 운영
가스누출·냄새 신고: 24시간 긴급 대응
토요일 방문 시공: 사전예약 필수 (방문 전날 오후 2시까지 접수)
평일 오전 10시 이전이나 오후 4시 이후에는 통화 대기시간이 짧습니다.
2. 빠른 연결을 위한 ARS 단축키
예스코 고객센터로 전화 후 아래 번호를 누르면 빠르게 원하는 부서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상담원과 직접 연결하고 싶다면 ‘0 → 0’을 누르세요.
1번: 요금조회 / 납부확인 / 자동이체 안내
2번: 전입·전출 / 가스레인지 연결·철거 신청
3번: 가스누출 및 냄새 신고(긴급 전용)
6번: 고객정보 변경 / 요금경감 / 카드납부 / 안전점검 예약 / 센터 위치 안내
0번: 상담원 연결
(별표) 다시듣기 / (샵) 이전 단계
꿀팁: 자동안내 중에도 0번을 누르면 언제든 상담원으로 바로 연결됩니다.
3. 요금조회 및 납부 방법
예스코는 오프라인 지로 납부 외에도 모바일 중심의 간편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음 네 가지 방법 중 편한 방식을 선택해보세요.
카카오톡 ‘예스코톡’
카카오에서 ‘예스코’ 채널 검색 → 요금조회/납부 선택
실시간 요금 확인과 바로 납부 가능
모바일 앱(가스앱)
앱 설치 후 로그인 → 요금 버튼 클릭
최근 청구내역, 사용패턴, 카드납부 가능
예스코 홈페이지
로그인 후 마이페이지 > 요금조회/납부
간편 요금조회 메뉴로 비회원도 조회 가능
ARS 이용
1544-3131 → 1번(요금관련) → 납부금액 및 전용계좌 안내
납부수단: 은행 자동이체, 카드납부(홈페이지·앱), 가상계좌, 인터넷지로, CD/ATM
4. 자동이체 변경 및 카드납부 팁
계좌 자동이체: 은행 창구, 고객센터 또는 예스코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
카드 자동이체: 카드사 고객센터를 통해 신청 (예스코 앱/홈페이지는 ‘일시결제’만 가능)
자동이체를 변경할 땐 기존 신청을 먼저 해지 후 재등록해야 중복 인출을 피할 수 있습니다.
5. 이사(전출·전입) 절차와 안전 점검
도시가스는 이사 시 반드시 전문기사의 철거·연결을 받아야 합니다.
임의로 밸브를 건드리면 가스누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하세요.
① 전출(이사 나갈 때)
- 이사 2~3일 전 고객센터 또는 앱에서 예약
- 직원 방문 → 호스·중간밸브 철거 및 말단 막음 안전조치
- 가스계량기 검침 후 요금정산
- 자동이체·알림톡은 미리 해지
② 전입(이사 들어올 때)
- 2~3일 전 연결 예약
- 기사 방문 → 가스레인지 연결 및 최종 안전점검 후 공급 개시
- 체납요금 확인 및 정산 필수
- 전입 연결 시 자재비·수수료가 소액 청구될 수 있음
주의: 빌트인 시설이라도 반드시 안전점검을 요청해야 합니다.
할증: 토·공휴일 요청 시 추가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6. 실제 사례로 보는 빠른 해결법
사례① | 이사 하루 전인데 예약이 꽉 찼어요
→ 1544-3131 → 2번(전입/전출) → 연결 후 ‘대기 등록’ 요청하면 취소 건이 생길 때 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례② | 고지서를 잃어버려서 요금을 모르겠어요
→ 예스코톡(카카오톡)이나 모바일 앱에서 즉시 확인 가능.
ARS(1번)에서도 납부금액·계좌안내 확인 가능합니다.
사례③ | 자동이체 계좌를 바꾸고 싶어요
→ 기존 자동이체를 해지한 뒤, 새 계좌나 카드로 재등록하면 됩니다.
사례④ | 가스 냄새가 나요
→ 즉시 창문 개방 → 밸브 잠금 → 불꽃·스위치 사용 금지 → 건물 밖으로 대피 → 1544-3131 → 3번(누출신고)
7. 지역별 고객센터 안내 (서울·경기권)
예스코는 서울과 경기 일부 지역에 총 26개 고객센터를 운영 중입니다.
아래는 주요 센터 요약이며, 모든 센터는 대표번호(1544-3131)로 연결됩니다.
지역명 | 주소 | 주요 관할 지역 |
---|---|---|
자양센터 | 광진구 자양번영로 72, 3층 | 광진 노유·능동·자양·화양 |
휘경센터 | 동대문구 전농로38길 35 | 동대문 이문·전농·휘경·청량리 / 성북 석관 |
중부센터 | 중구 동호로 193-22, 502호 | 중구 신당·을지로·충무로 일대 |
구의센터 | 광진구 구의로 55, 2층 | 구의·광장·자양 |
금호센터 | 성동구 독서당로 328, 3층 | 성동 금호·옥수·응봉·행당 / 용산 한남 |
면목센터 | 중랑구 용마산로 334, 302호 | 중랑 망우·면목 일대 |
구리센터 | 구리시 건원대로99번길 80-9, 2층 | 구리 교문·수택·토평 일대 |
금곡센터 | 남양주시 진건오남로 75, 3층 | 남양주 진건·오남·호평 |
용산센터 | 용산구 장문로 27, 2층 | 용산·이태원·한남·후암 |
양평센터 | 남양주시 와부읍 수레로 88-17, 303호 | 남양주·양평 전역 |
(이외 중곡, 제기, 삼선, 상봉, 정릉, 덕소, 별내 등 나머지 지역도 동일 번호로 연결 가능) |
마무리 요약
예스코 고객센터는
“1544-3131 → 0번”만 기억하면 모든 업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요금조회부터 이사 예약, 안전점검, 가스누출 신고까지 24시간 대응하니
꼭 번호를 휴대폰에 저장해두세요.
필요할 때 가장 빠른 길은 항상 예스코 고객센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