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직 포뮬러 투자법|조엘 그린블라트의 가치투자 전략 완전 정리

매직 포뮬러 투자법|조엘 그린블라트의 가치투자 전략 완전 정리

복잡한 숫자 없이도, 시장을 이길 수 있는 공식이 있다면?
2005년, 월가의 가치투자자 조엘 그린블라트(Joel Greenblatt)는 그 해답으로 ‘매직 포뮬러(Magic Formula)’를 공개했습니다.

“좋은 회사를 싸게 사라”는 단순한 철학을 정량적 공식으로 풀어낸 전략으로, 이후 전 세계 개인 투자자들에게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매직 포뮬러의 핵심 원리와 계산 방식, 실제 투자 적용법, 그리고 주의사항까지 차근차근 정리해드립니다.

 

 

목차

 

 

 

매직 포뮬러의 기본 개념

좋은 기업을 싼 가격에 산다면 수익률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이 간단한 명제를 숫자로 설명하기 위해, 그린블라트는 두 가지 핵심 지표를 사용했습니다.

  1. 자본 대비 수익률(ROIC, Return on Invested Capital)
    → 얼마나 효율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가?
  2. 이익 수익률(Earnings Yield)
    → 현재 주가 대비 수익이 얼마나 매력적인가?

이 두 지표를 활용해 모든 기업에 점수를 매기고, 두 순위를 합산해 상위 종목에 분산 투자하는 것이 매직 포뮬러의 전부입니다.

 

 

핵심 지표 ① 자본 대비 수익률 (ROIC)

ROIC는 기업이 실제로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하는지를 보여줍니다.

공식:
ROIC = EBIT / (유동자산 + 순고정자산 – 유동부채)

여기서 EBIT는 영업이익(이자 및 세금 차감 전 이익)을 의미하며,
투하자본은 실제 사업에 투입된 자산에서 단기부채를 뺀 값입니다.

ROIC가 높을수록 ‘좋은 회사’로 간주되며, 매직 포뮬러는 이 지표의 높은 기업을 선호합니다.

 

 

 

핵심 지표 ② 이익 수익률 (Earnings Yield)

이익 수익률은 PER(주가수익비율)의 역수 개념입니다.
다만 일반적인 PER 대신 EV/EBIT이라는 개념을 사용합니다.

공식:
이익 수익률 = EBIT / EV

여기서 EV는 기업가치(EV, Enterprise Value)로,
시가총액 + 순부채(총부채 – 현금)을 의미합니다.

즉, EV가 낮을수록 시장에서 ‘저평가’된 회사로 볼 수 있으며,
이익 수익률이 높을수록 싸게 살 수 있는 회사로 간주됩니다.

 

 

 

매직 포뮬러 투자 과정 요약

  1. 전체 상장기업에서 금융주·적자기업 제외
  2. ROIC와 이익수익률을 기준으로 각각 순위 매기기
  3. 두 순위를 합산해 ‘종합 점수’ 계산
  4. 상위 20~30개 기업에 동일 비중으로 분산 투자
  5. 1년 후 리밸런싱 (다시 점수 계산 후 교체)

포인트는 단기 이슈나 뉴스에 흔들리지 않고, 정량적 기준으로만 판단한다는 점입니다.

 

 

 

예시: 상장기업 중 매직 포뮬러 상위 선정

가령 아래와 같은 세 기업이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기업명 ROIC 순위 이익수익률 순위 총합 순위
A사 10위 20위 30
B사 8위 5위 13
C사 3위 15위 18

총합이 가장 낮은 B사가 최상위로 선정되며, 상위 20~30위까지 선별해 투자합니다.

 

 

 

매직 포뮬러의 성과는 실제로 어땠나?

그린블라트가 직접 펀드를 운용한 기간(1988~2004년) 동안,
이 전략은 연평균 수익률 약 30%를 기록하며 시장을 크게 상회했습니다.

또한 저서 『주식시장을 이기는 작은 책(The Little Book That Beats the Market)』에서는
백테스트 결과로도 장기적으로 S&P500보다 우월한 성과를 입증했습니다.

 

 

 

매직 포뮬러의 한계와 주의점

  1. 단기 수익률 변동에 민감할 수 있음
    → 정량적 지표는 미래를 완벽히 예측할 수 없습니다.
  2. 기업의 질적 요인은 고려하지 않음
    → 브랜드 가치, 산업 경쟁력 등은 반영되지 않음
  3. 실적 왜곡 기업 포함 가능성
    → 일시적으로 지표가 좋아 보이는 기업이 포함될 수 있음
  4. 시가총액이 너무 작거나 유동성 낮은 종목 포함 가능성
    → 거래량 적은 종목은 개인 투자자에게 불리

따라서 보조 필터(예: 시가총액 하한선, 거래량 기준 등)를 함께 적용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실전 투자 시 유용한 팁

  • 국내 종목 분석엔 ‘퀀트킹’, ‘스노우볼’, ‘인베스팅닷컴’ 등 활용 가능
  • 포트폴리오는 연 1~2회 리밸런싱으로 충분
  • 개별 분석 없이도 감정 배제 가능 → 심리적 투자 오류 방지
  • 코스피·코스닥 통합 적용 가능하나, 유동성 기준 설정 권장

 

 

 

마무리 요약

구분 내용
핵심 철학 좋은 기업을 싸게 사라 (ROIC + 이익수익률)
투자 방식 순위 기반으로 정량적으로 종목 선정
리밸런싱 보통 연 1회
장점 단순, 감정 배제, 높은 백테스트 성과
단점 질적 분석 부족, 실적 왜곡 가능성

매직 포뮬러 투자법은 단순함 속에 강력한 논리가 담긴 전략입니다.
뉴스에 휘둘리지 않고, 감정을 배제하고, 객관적인 지표만으로 꾸준히 투자한다면
장기적으로 시장 평균 이상의 수익률을 달성하는 데 충분히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단순한 수식만 믿기보다는 리스크 관리와 보조 지표를 함께 활용해
자신만의 투자 철학과 포트폴리오로 발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접근입니다.

댓글 남기기